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최저없는 대학... 최저없는 대학은 별로 안좋은가요? 6등급대 인데 대학 찾아보니까 최저 없는
최저없는 대학은 별로 안좋은가요? 6등급대 인데 대학 찾아보니까 최저 없는 곳이 대부분이더라고요. 최저 없는곳으로 가면 좀 공부 못했다는 소리 들을 수도 있나요...? 공부 못한건 들키기 싫어서요...
최저학력기준 없는 대학 = 쉬운 곳? 꼭 그렇진 않습니다
최저 없는 대학은 수능 점수로 걸러내지 않기 때문에 경쟁률이 오히려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그래서 학생부 성적, 비교과 활동, 면접 등으로 승부를 봐야 하기 때문에 더 까다로운 면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적성고사 전형이나 면접 위주 전형, 또는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중 일부는 최저 없이도 우수 학생을 뽑고 있습니다.
❓ 최저 없는 곳 가면 “공부 못했다”는 말 들을까?
① 현실적으로
사람들(특히 주변 친구나 어른들)이 대학 이름만 보고 판단할 수는 있어요.
일반적으로 최저 없는 대학 = 중하위권 대학이라는 이미지가 있긴 합니다.
특히 수능 중심으로 사고하는 사람들은 ‘수능 최저 없는 곳이면 좀 낮은 대학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어요.
② 하지만 실제로는
6등급대 학생에게 맞는 대학을 선택하고, 그 안에서 목표를 잘 세우고 준비해 나가는 게 훨씬 중요합니다.
나중에 졸업 후에는 어디 나왔는지보다, 뭘 했는지가 더 중요해지는 시점이 옵니다.
게다가 대학 자체보다 학과 선택이 더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미래 진로와 연계되는 곳이라면 더더욱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