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물학 공부하면서 모르는거 탈수반응 이런거 할때 3개의 단량체가 연결되어 중합체를 형성하기위해 물 몇분자가
대학생물학 공부하면서 모르는거 탈수반응 이런거 할때 3개의 단량체가 연결되어 중합체를 형성하기위해 물 몇분자가
탈수반응 이런거 할때 3개의 단량체가 연결되어 중합체를 형성하기위해 물 몇분자가 방출되나?라는 질문이 있었는데요답이 9개인데 왜9개인지 모르겠어요 3개의단량체가 일자로 결합해서 물분자 2개가 나오는거 아닌가요??ㅜ 설명좀 자세하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탈수축합 반응에서 물 분자 수에 대해 헷갈리신 질문자님.
저도 처음에는 비슷한 부분에서 많이 헷갈렸던 기억이 있어요. 그 마음 충분히 이해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질문자님이 보신 '물 9분자 방출'은 잘못된 답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왜 그런지 하나씩 설명드릴게요.
단량체(monomer)들이 결합하면서 물(H₂O) 분자를 잃고, 더 큰 중합체(polymer)를 형성하는 반응입니다. 예: 아미노산 → 단백질
단량체가 2개 연결될 때마다 물 1분자가 나옵니다.
그러니까 **결합 수 = (단량체 수 - 1)**입니다.
질문자님의 경우처럼 3개의 단량체가 일렬로 결합하면,
이건 아마 단량체가 10개 연결될 때의 예시를 잘못 이해하신 걸 수 있어요.
단량체 10개 → 결합 9개 → 물 9분자 방출
3개의 단량체가 탈수축합으로 일렬로 결합하면 물 2분자가 방출되는 게 맞습니다.
만약 9개가 나왔다면, 단량체의 개수는 10개였을 가능성이 높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