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유방암 관련 안녕하세요.  저랑 동거하고 있는 언니가 가슴에 혹이 생겨 유방외과로 가서
안녕하세요.  저랑 동거하고 있는 언니가 가슴에 혹이 생겨 유방외과로 가서 초음파와 조직검사를 받았습니다 1차 검사결과 정확하게 나오지 않은것 같다며 2차 조직검사를 하였고 오늘 아침에 결과 들으러 방문 하라고 예약을 잡아주셔서 갔습니다 간호사들끼리 소통이 안된건지 결국 결과를 못들어서 올수 있는 날이 당분간 없으니 결과 전화로 알려달라 하여 오후쯤 전화와서는 1차 검사때 유방암이라고 나와 이상해서 2차 검사를 한거다 2차에서는 유방암이 아니라는 식이였고 정확하지 않으니 다른병원을 가보라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너무 심란해 하고 병원에 대한 대처도 마음에 들지 않고 유방암이 맞는지 아닌지 걱정이 되네요 확률이 얼마나 있을까요,,,,,,,,,,,,,,,,,,,,대략,,,,,,,,,,
가까운 가족이 유방암 의심으로 검사를 받고 결과까지 불확실하게 나왔다면 얼마나 마음이 불안하고 답답하실지 충분히 공감됩니다. 병원에서 명확한 설명 없이 결과가 오락가락한다면 더욱 혼란스러우셨을 것 같습니다.
1차 조직검사에서 유방암 가능성이 있다고 나온 경우라면 그만큼 세포나 조직에서 의심되는 변화가 있었다는 의미입니다.
다만 조직검사라는 것이 일부 조직을 떼어내어 검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검체 채취 위치나 양에 따라 오진 또는 판독의 불일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경우 병리학적 소견이 불분명하거나 상충될 때에는 더 정밀한 검사를 위해 다른 병원으로의 전원을 권하기도 합니다.
2차 조직검사에서 암이 아니라고 나왔다 하더라도 병원 측에서 확실하지 않다고 말한 점을 보면 결과가 애매하거나 경계 병변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일부 유방암 전단계 병변이나 비정형세포 증식 같은 상태는 명확히 암이라고 보기도 어렵고, 그렇다고 양성으로 안심할 수도 없는 상태인 경우도 있습니다.
유방암일 확률이 어느 정도 되는지는 현재 상황만으로는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조직검사 결과 외에도 초음파 소견, 종괴의 크기와 모양, 염색 결과, 세포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며, 필요시 진공보조흡입생검(VABB)이나 MRI 검사 등의 추가 진단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빠르게 유방암 진단 경험이 풍부한 2차 병원이나 대학병원 유방외과로 진료를 연결하는 것입니다. 영상자료와 조직검사 슬라이드를 요청해 가져가면 이중 판독도 가능합니다. 병변의 정확한 성격을 판단하고 치료가 필요한 상태인지, 추적만 하면 되는지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지금은 너무 걱정만 하지 마시고 빠르게 신뢰할 수 있는 병원에서 정밀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언니분의 마음도 많이 불안하실 테니 함께 힘이 되어주시고, 정확한 진단을 통해 건강을 잘 챙기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